요즘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은 대개 삼성페이, LG페이 등 제조사 자체 모바일 간편결제 앱이 탑재되어 있다.
하지만 보급형 스마트폰이나 오래된 스마트폰에는 이런 간편결제 앱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.
폰 자체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지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삼성페이나 LG페이를 따로 설치할 수 없다.
삼성페이나 LG페이가 되지 않아도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모바일 결제할 수 있는 방법은 아주 많다.
오히려 삼성페이나 LG페이로 결제하는 것보다 혜택이 더 많이 주어진다.
(다만 삼성페이나 LG페이는 전국 거의 99.9%의 카드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지만, 대체 앱들은 그렇지 않다)
이런저런 간편결제 앱들이 있는데, 딱 세개만 추려봤다.
제로페이
제로페이는 소상공인들에게 카드수수료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개발된 간편결제 기능이다.
소상공인들에게만 혜택이 주어지지는 않고, 소비자들도 소득공제 30%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제로페이는 따로 독자적인 앱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, 교통카드 앱이나 간편결제 앱, 은행 앱 등에 제로페이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방식이다.
전국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는데, 편의점은 거의 다 제로페이 가맹점이고, 어지간한 식당들도 제로페이를 받는다.
위 캡처화면은 "티머니페이" 앱의 제로페이 기능 캡처화면이다.
제로페이는
1)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모바일상품권과,
2) 은행계좌를 등록해서 체크카드처럼 통장잔고에서 결제되는 방식이 있다.
*.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계좌를 등록해서 결제
*. 아직까지 여신 (신용결제) 기능은 없다.
*. 제로페이는 아이폰에서도 사용 가능하다. 티머니페이의 경우 별도의 스티커를 구입하면 아이폰에서 교통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.
지역상품권은 최대 10%까지 할인 판매되며, 어지간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보다 혜택이 더 많이 제공된다.
페이코
페이코 앱은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도 등록해서 결제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. 다만 페이코 가맹점은 제로페이보다 훨씬 적다는 점이 단점이다.
(페이코 앱에서도 제로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)
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록해서 오프라인 결제시 1%가 페이코 포인트로 적립되고, 온라인 결제시 0.2%가 적립된다.
모바일티머니, 모바일캐시비 등 교통카드 앱
모바일티머니, 모바일캐시비 등 교통카드 앱들은 지하철,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 뿐만 아니라 지정된 티머니 및 캐시비 가맹점에서도 결제 가능하다.
이따금씩 앱 자체 이벤트성 할인혜택을 제공하며, 편의점 결제시 유리한 편이다.
'삶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머니페이 교통카드 앱 현금으로 충전할 수 있을까? (0) | 2021.08.16 |
---|---|
우리은행 ATM에서 신용카드, 체크카드로 세금 (지방세) 납부 방법 (0) | 2021.07.30 |
제로페이 결제 안될 때에는 점검시간 확인하기 (0) | 2021.07.02 |
SK텔레콤 휴대폰 소액결제 활성화 방법 및 결제내역 확인방법 (0) | 2021.06.22 |
LG페이 휴대폰 소액결제 사용처, 2천원 할인 이벤트 (0) | 2021.06.22 |